본문 바로가기

인물&사건94

톨스토이와 체호프, 그 얄타 만남 Leo Tolstoy and Anton Chekhov at Yalta in 1900. 레프 톨스토이와 안톤 체호프는 1900년 얄타Yalta에서 만났다. 이 만남은 사진으로 남아 온라인에서도 흔히 본다.하지만 두 사람 관계는 생각보다 복잡했다.톨스토이는 체홉의 연극 양식에 대해 엇갈린 감정을 표했다고 한다.톨스토이는 체홉을 존중했지만, 그의 작품이 셰익스피어의 작품만큼 강렬하지는 않다고 느꼈다고 한다. 체홉 작품은 관찰적이고 교훈적인 면이 적었기 때문이라고 알려진다.가디언지 한 기사에 따르면, 그는 체홉에게 "관객 손을 잡고 그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어야 한다"고 말한 적이 있다고 한다. 체홉은 얄타에서 "개를 데리고 있는 여인The Lady with the Dog"을 썼다.1900년이라면 1828년 생.. 2025. 4. 20.
"모두가 세상을 바꾸려 하지만..." 레프 톨스토이 레프 톨스토이Leo Tolstoy(1828–1910)는 러시아의 소설가, 철학자, 도덕 사상가로 역사상 가장 위대한 작가 중 한 명으로 명성을 떨쳤다. 러시아 툴라Tula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난 톨스토이는 기념비적인 소설 전쟁과 평화(1869)와 안나 카레니나(1877)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그의 말년은 영적 각성과 기독교 무정부주의, 평화주의, 그리고 물질적 부의 거부로 점철되었다. "모두가 세상을 바꾸려 생각하지만 자신을 바꾸려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행복해지고 싶다면, 행복해져라.""행복한 가정은 모두 비슷하지만, 불행한 가정은 저마다의 이유로 불행하다." (안나 카레니나)"가장 강력한 두 전사는 인내와 시간이다." (전쟁과 평화)"잘못은 잘못된 길을 멈추지 않는다. 왜냐면 다수가 그것.. 2025. 4. 20.
아데아 에우리디케, 마케도니아 제국 마지막의 처절한 패배자 기원전 337년 무렵 태어난 아데아 에우리디케 Adea Eurydice는 알렉산더 대왕 사후 격동의 시대에 중요한 인물이었다.마케도니아 필리포스 2세와 아우다타Audata 딸인 키나네Cynane의 딸이자 일리리아 왕가 Illyrian royal house 후손이었다.무술 실력이 중시되는 환경에서 자란 아데아는 사냥, 승마, 그리고 경우에 따라 전투 훈련을 받았다.혈통은 그를 당대 왕조 투쟁의 핵심 인물로 자리매김했다. 알렉산더 대왕 이복형제이자 알렉산더 사후 마케도니아 왕위에 오른 필리포스 아리다이오스 Philip Arrhidaeus 아내가 되었다. 아데아 에우리디케 삶은 알렉산더 제국 붕괴 이후 이어진 권력 투쟁에 연루된 것으로 점철되었다.그는 정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알렉산더 대왕의 어머니 올림피아.. 2025. 4. 20.
아리아페이테스, 스키타이 제국의 실력자 아리아페이테스Ariapeithes 왕은 기원전 5세기 초 스키타이인들의 주목할 만한 통치자였으며, 주로 헤로도토스Herodotus의 역사적 기록에서 알려져 있다.강력하고 존경받는 왕으로서 아리아페이테스는 흑해 북쪽의 대초원을 가로질러 뻗어 있는 유목 제국인 스키타이 영토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그는 힘, 전쟁에 대한 기술, 스키타이 전통에 대한 충성심 등 그의 민족의 가치를 예시했다.그의 통치 기간 동안, 그는 동맹을 맺고 이웃 부족들과 평화를 유지하여 그의 왕국의 번영을 보장했다.아리아페이테스는 서로 다른 부족의 여러 여성과 결혼하여 다양한 문화 집단 간의 전략적 유대를 강화했다.그의 아내 중 한 명은 그리스인이었고, 그들의 아들 실라스Scylas는 나중에 그리스 문화에 대한 그의 매혹으로 알려지게.. 2025. 4. 19.
폭정으로 자멸한 노섬브리아 왕 에델레드 On April 18, 796, King Ethelred I of Northumbria was killed.796년 4월 18일 노섬브리아Northumbria 왕 에델레드Ethelred 1세가 살해되었다.에델레드 친구인 프랑크 왕 샤를마뉴Charlemagne는 이 일로 노섬브리아인들에게 너무 짜증이 나서 그들에게 전쟁을 선포할 뻔했다.하지만 에델레드 자신은 좋은 사람이 아니었다. 왕으로서의 자기 긍정을 위해 끊임없이 자신에게 위험한 사람들을 제거했기 때문이다. 그러한 폭력은 왕의 적들에 의한 반란을 유발했다. 2년간의 내전 끝에 그는 목숨을 바쳤고, 왕은 코브리지Corbridge에서 알려지지 않은 가해자들에게 살해되었다. 2025. 4. 19.
단명한 로마 황제 플로리아누스 플로리아누스Florianus는 마르쿠스 아니우스 플로리아누스Marcus Annius Florianus로도 알려져 있으며, 이복형제이자 전임 황제인 타키투스Tacitus가 암살된 후 276년에 잠시 로마 황제로 군림했다.몇 달밖에 지속되지 않은 그의 통치 기간은 내분과 외부의 위협으로 점철되었고, 이는 3세기 위기Crisis of the Third Century라는 격동의 시기를 특징지었다. 플로리아누스는 로마 군대의 상당 부분을 지휘하는 사령관으로 권력을 잡았고, 타키투스가 사망하자 곧바로 스스로 황제로 선포했다.그러나 그의 권위는 동방 군단의 지원을 받는 경쟁 장군 프로부스Probus의 도전을 받았다.플로리아누스는 서부 속주에 대한 지배력을 유지했지만, 정치적 불안정과 로마 군대의 충성심 분열 속에서 .. 2025. 4.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