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aeologyWorld
게는 잡아먹지 않는 남극 게잡이물범, 그 이빨은? 본문
동물계에 게잡이물범Crabeater seal이라는 친구가 있는 모양이라
이 친구 동물계에서 가장 독특하게 적응된 이빨을 지닌다는데 그 꼬라지가 저렇다고.
톱니처럼 맞물린 이빨 구조는 천연 여과기처럼 작동해 바닷물에서 작은 크릴을 걸러내면서 과도한 수분을 배출한댄다.
한데 크랩을 이팅 한다는 이름과 달리 게잡이물범은 게를 먹지 않는다.
크릴은 이들의 거의 모든 식단을 차지하며 남극 얼음 바다에서 생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크릴이터 물범(Lobodon carcinophaga)은 krill-eater seal이라고도 하며, 남극 해안 주변 극지방에 주로 분포하는 물범seal이다.
로보돈Lobodon 속을 구성하는 유일한 멤베인 이들은 중형에서 대형(길이 2m 이상)이며, 비교적 가늘고 옅은 색을 띠며, 주로 남극 해안에서 계절에 따라 뻗어 나오는 자유롭게 떠다니는 유빙에서 발견된다.
이를 휴식, 짝짓기, 사회적 집합 및 먹이 접근을 위한 플랫폼으로 사용한다고.
세계에서 가장 풍부한 물범 종인 이들 개체 수 추정치는 불확실하지만 최소 700만 마리, 최대 7,500만 마리가 있을 수 있다 한다.
이런 대규모 증식 번성은 남극해 풍부한 남극 크릴을 전문적으로 포식했기 때문이며, 실제 크릴에 독특하게 적응된 체 모양 이빨 구조를 지닌다.
실제로, "엽상 이빨lobe-toothed(로보돈lobodon) 게잡이(카르시노파가carcinophaga)"로 번역되는 학명은 특히 작은 갑각류 먹이를 걸러내는 데 적응된 미세한 엽상 이빨을 가리킨다.
'na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 그득한 흑요석 들판 (0) | 2025.05.20 |
---|---|
아시아, 그 하위 6개 그룹 (0) | 2025.05.20 |
니가 가라 하와이? 가장 높은 산은 에베레스트가 아니고 하와이? (0) | 2025.05.17 |
가장 오래된 5천200만년 전 박쥐! (0) | 2025.05.11 |
바이칼로 호수 물을 빼내면? (0) | 2025.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