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aeologyWorld

북경원인, 70만년 전의 아시아 호모 에렉투스 본문

인물&사건

북경원인, 70만년 전의 아시아 호모 에렉투스

gogoworld 2025. 5. 27. 22:51
반응형

아프리카에서 나온 인류답게 북경원인은 여전히 흑인이다.

 

베이징 원인 Peking Man (호모 에렉투스 페키네멘시스 Homo erectus pekinensis)은 1923년에서 1937년 사이 베이징 인근 저우커우뎬Zhoukoudian[주구점]에서 발견된 초기 인류 화석을 가리킨다.

약 70만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이 화석에는 약 40명의 두개골, 턱뼈, 그리고 뼈가 포함된다.

베이징원인은 튼튼한 두개골과 두꺼운 눈두덩을 지녔으며, 뇌 크기는 현대인보다 작았지만 초기 인류보다는 컸다.

증거에 따르면 이들은 석기를 사용했고, 불을 조절했을 가능성도 있다.

이 발견은 중국 인류학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으며, 인류 진화에 대한 논쟁에 기여했다.

초기 이론들은 인류가 아시아에서 진화했다고 주장했지만, 오늘날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아프리카 기원" 모델을 지지한다.

저우커우뎬은 여전히 중요한 고고학 유적이며, 현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북경원인 두개골은 이러시다고

 

Peking Man은 본래 "시난트로푸스 페키넨시스Sinanthropus pekinensis"라 했으니

호모 에렉투스 아종subspecies으로, 중기 플라이스토세Middle Pleistocene 시대에 현재 중국 북부에 살았다. 최초 화석인 치아 화석은 1921년 발견되었다.

베이징원인은 중국 인류학 토대를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서양과 동양 과학 간 중요한 대화를 촉진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저들이 진화해 현대 인류 직계 조상이 되었다는 주장이 한동안 유행하기도 했다.

이 북경원인은 정치 바람을 짙게 탔으니 공산혁명 이후 중국에서는 대대적으로 중국의 정체성 뿌리로 선전되기도 했다. 

지금은 인류의 아프리카 기원설은 정설이 되었지만, 그렇다고 중국 과학이 그 연줄을 놓을 사람들이 아니다. 지금도 끊임없이 저들을 직접 조상으로 삼기 위한 노력을 악착같이 하고 있다. 

마치 북한이 단군릉에서 한민족 기원을 찾았듯이 말이다. 

암튼 베이징원인은 호모 에렉투스 전형하는 해부학적 특징을 보여준다. 두개골은 길고 견고하게 보강되어 있으며, 부풀어 오른 뼈 막대가 정수리를 둘러싸고 눈썹뼈를 따라 귀를 지나 두개골 뒤쪽에서 연결된다.

또한 중앙선을 가로지르는 시상 용골sagittal keel이 있다. 두개골과 장골은 매우 두껍다. 얼굴은 돌출되어 있고(안면 중앙 돌출증), 안와가 넓으며, jaws는 튼튼하지만 chin이 없다. 치아는 크고, 앞니는 삽 모양이다.

뇌는 용적이 850~1,225cc(52~75세제곱인치)로, 평균 1,000cc(61세제곱인치)를 약간 넘는다. 이는 현생 인류의 변이 범위 내에 있다.

사지는 해부학적으로 현생 인류와 거의 유사하다. 북쪽 위도에 사는 H. erectus 평균 키는 약 150cm(4피트 11인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열대 지방에 사는 개체군 평균 키인 160cm(5피트 3인치)와 비교된다.

 

스웨덴 웁살라대학에 있는 북경원인 이빨. 초기 중국 인류학 조사는 스웨덴 독무대였다.



베이징원인은 사슴, 코뿔소, 코끼리, 들소, 물소, 곰, 늑대, 큰고양이, 그리고 다른 동물들과 함께 서늘하고 주로 대초원 지대에 부분적으로 숲이 우거진 환경에서 살았다.

80만 년 전부터 최근 23만 년 전까지 주구점 동굴에서 간헐적으로 거주했으나 정확한 연대는 불분명하다.

이 시기는 여러 차례 추운 빙하기와 따뜻한 간빙기를 포함한다.

베이징원인의 문화적 복잡성에 대해서는 격렬한 논쟁이 있다.

만약 베이징원인이 주로 청소 동물을 사냥하는 것과는 달리 사냥, 옷 만들기, 그리고 불을 다루는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면, 그들은 추운 빙하기를 견뎌낼 수 있었을 것이다.

그렇지 않았다면, 그들은 남쪽으로 후퇴했다가 나중에 돌아와야 했을 것이다.

베이징원인이 동굴에 실제로 살았는지, 아니면 거대한 하이에나(Pachycrocuta)에게 살해되어 그곳에 버려졌는지도 논란의 여지가 있다.

주구점에서는 10만 점이 넘는 석기가 발견되었다.

이 석기들은 대부분 폐기된 것들이지만, 간단한 쪼개개와 조각도 많이 포함되며, 긁개나 송곳과 같은 몇몇 수정된 도구도 포함되어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