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물톱아보기

나선형 피뷸라fibula, 유럽 청동기의 미스터리

by gogoworld 2025. 2. 16.
반응형

 
Pair of European Bronze Spiral Fibulae
European · European Bronze Age, late 2nd - early 1st millennium B.C.

유럽 대륙 청동 나선형 피뷸라fiobula 한 쌍
유럽 청동기시대, 대략 기원전 1천년 전 어간 


이 보석은 나선형 피뷸라 spiral fibula 라고 일컫는 피뷸라 그룹에 속한다.

사진은 알프스 북부와 동유럽(특히 카르파티아 산맥 Carpathian mountains 지역) 청동기 시대 마지막 단계에 잘 알려진 유물이다.   

종종 이러한 유형의 피뷸라는 정밀함을 갖춘 작은 걸작이다.

잠금 장치closing mechanism(핀pin 및 걸쇠catch)와 함께 모든 장식은 원형 또는 각진 단면angular cross-section의 청동 와이어bronze wires로 완전하게 제작되었다.

때로 와이어 표면은 기하학 모티프geometric motifs로 장식되기도 한다.

이 피뷸라의 경우, 핀과 상단 루프top loop는 하나의 두껍고 균일한 금속 와이어로 제작되었으며,

다른 두 개 더 얇은 와이어는 측면 부분lateral parts(반원형 루프semi-circular loop가 있는 두 개 작은 얽힌 나선형intertwining spirals)을 모델링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두 개 캐치 플레이트catch plates는 주主 줄기 principal stem 상단에 고정되었다.

중간 고리 주위를 나선형으로 감싼 매우 얇은 와이어는 보조 장식을 구성한다.

그 유형의 다양성은 이런 나선형 피뷸라의 특징 중 하나다.

매우 단순한 버전(중앙 디스크central disk와 비슷한 크기 한 쌍의 나선형, 유형 A1 포함)과 최대 3~4쌍 루프loops (2~3개 캐치 플레이트가 있는 유형 A2 및 A3)를 표시하는 더 정교한 버전이 있으며 창 끝이나 새 모양 펜던트로 장식된 예도 있다.

문제의 두 부분은 그룹 A2로 분류된다.

이 경우 나선형 와이어가 있는 반원형으로 대체된 중앙 볼류트central volute가 비표준 유형이더라도 마찬가지다. 

나선형은 청동기 시대 말기에 발칸 반도 문화를 지배한 도상학적 모티브 중 하나이며, 장인들은 이를 제품 장식에 아낌없이 적용했다.

나선spiralls은 수많은 보석(왕관, 반지, 팔찌, 피뷸라 등)뿐만 아니라 도기, 금속 용기 등과 같은 다른 상품에도 주요 요소로 나타난다.

그것의 보편성은 구체적인 증거가 없음에도 단순한 장식 스타일의 의미를 넘어서는 것이 아니라 종교적 또는 마법적 의미의 영역에 들어가는 것인지 물어볼 수 있을 정도다.

대부분의 "나선형" 피뷸라[비골]은 고고학적 퇴적물archaeological deposits에서 발견되었는데, 그 위치가 꼭 분명한 것만은 아니다.

때때로 퇴적물이 컬트 그룹(용기, 단검 등), 금속 재활용을 위한 주조 매장지, 은신처 등과 유사하게 만든 것처럼 보인다.

일부 예는 네크로폴리스에서 나왔지만 이러한 보석이 착용된 방식에 대한 정보는 그다지 정확하지 않다.

하지만 튜닉 천을 고정하는 데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남성과 여성 모두 착용할 수 있었다는 사실은 대강 밝혀졌다.

크기와 정교함(특정 피뷸라는 길이 40cm에 달한다)을 고려하면 특정 예는 아마도 고귀함, 재산, 지위 또는 단순히 부의 표시일 것이다.

(Credit:Phoenix art)

 
*** related article *** 

 
헝가리 청동기시대 청동 피뷸라fibula
https://heriworld.com/592

헝가리 청동기시대 청동 피뷸라fibula

A CENTRAL EUROPEAN BRONZE FIBULAHungary, Middle to Late Bronze Age, Circa 1300-1200 B.C.중앙 유럽 청동 피불라헝가리, 중후기 청동기 시대, 기원전 1300-1200년경 저 Fibula라는 말이 생소해 찾아 보니 본래는 해부학에

heriworld.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