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ancient Pietroasele Treasure in Pietroasele commune, Buzău county, Romania.
고대 게타이 다키아 Geto Dacian 금 보물ancient Geto Dacian gold treasure은 루마니아 부자우Buzău 카운티 피에트로아셀레Pietroasele 코뮌에서 1837년에 발견되었다.
이스트리차 언덕Istrița hill(해발 750m) 채석장stone quarry에서 두 남자가 19kg 무게 금 조각 12개를 발견한 것이다.
그런 까닭에 이들 보물 목록을 일컬어 피에트로아셀레 보물 Pietroasele Treasure 혹은 페트로사 보물 the Petrossa Treasure이라 뭉뚱거려 부르기도 한다.
몇몇 역사가는 그 보물이 고트족이 남긴 것이라 주장하지만 고트족Goths은 금 생산자로 확립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논란이 있다.


반면 다른 사람들은 이 보물이 트라키아 또는 게타이 다키아에서 유래한다Thracian or Geto Dacian origins고 주장했다.
이 보물 목록은 부레비스타Burebista 왕조 시대나 그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보물을 포함한 루마니아 유물은 1916년 제1차 세계대전 중에 보관을 위해 모스크바로 갔다.
이를 위해 이해 12월 12일부터 14일까지 1천738개 상자가 이아시Iasi 철도 마차 17대에 실려간 것이다.
1917년 10월 러시아 혁명 이후, 공산주의 볼셰비키가 권력을 잡았다. 1935년 일부 유물이 귀환했지만 1천443개 상자가 반환되지 않았다.
그러다가 훗날 피에트로아셀레 보물을 포함해 반환이 이뤄져 현재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국립역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어느 역사동호회에 오른 설명인데, 저와 관련한 논급이 위키피디아 영문 사전에도 올랐으니 그 설명이 사뭇 차이가 있어 소개한다.
1837년 루마니아 부자우 피에트로아셀레에서 발견된 피에트로아셀레 보물(또는 페트로사 보물)은 이주 시대 Migration Period 예술의 다색 스타일의 가장 유명한 예 중 약 22개 금 물체를 포함하는 4세기 후반 고트 양식 보물이다.
22개 유물 중 부쿠레슈티에 있는 루마니아 국립역사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는 12개 조각만 살아남았다.
독수리 머리를 한 큰 비골과 준보석으로 장식한 작은 조각 3개, 중앙에 앉아 있는 3차원 여신을 둘러싸고 있는 오르페우스 형상을 모델로 한 파테라patera 또는 둥근 희생 접시, 12면 컵, 고트 룬 문자를 새긴 반지, 큰 쟁반, 다른 목걸이 두 개와 주전자 1점이 그것이다.

알렉산드루 오도베스쿠(Alexandru Odobescu)가 이 보물에 관한 책(앞 사진)을 출판하면서 그러한 장엄한 작품이 고트족 일족인 테르빙족Thervings 지도자 아타나릭Athanaric(서기 381년 사망)에게만 속한다 제안했지만 현대 고고학자들은 대체로 동의하지 않는다.
이 보물은 제1차 세계대전 중 독일군이 루마니아를 통과하면서 1916년 12월 모스크바로 배송되었다가 1956년이 되어서야 반환되었다.
유물은 최근에 의문이 제기된 방식으로 복원되었다.
예컨대 오래된 사진을 보면 가장 큰 새 브로치 머리 부분이 원래 분리된 것으로 나타났지만 현재 복원물에서는 머리 부분이 잘못된 방향으로 되어 있다.
원래 상태에서는 머리가 앞쪽을 향하고 브로치는 로마 패션을 모방하여 망토를 고정하는 어깨 위에 새처럼 앉아 있었을 것이다. (아마 아래 사진을 말할 듯)

보물 목록은 크게 장식품과 그릇이라는 두 가지 범주로 나뉜다.
여러 자료를 종합할 때 당시 식기가 여전히 축제 음식의 필수 액세서리였으며, 이 범주에는 성소 유산에서 발견된 의례용 식기도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보물은 다양한 예술적 스타일을 나타낸다.
벨트 버클에는 중국 한나라 영향이, 황금 그릇에는 헬레니즘 영향이, 바구니에는 사산 왕조 문양이, 비골fibula에는 게르만 패션이 주목되었었다.

금속 분석에서는 Ir/Au, Cu/Au 및 Ag/Au 농도의 관점에서 세 가지 유형이 밀집되어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리듐 농도 데이터를 근거로 그것이 어디에서 유래하는지를 두고 토론이 벌어지는 모양이다.

'유물톱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프러스 퍼레이드 마차 (0) | 2025.02.14 |
---|---|
미끄럼을 막으려한 시황제 시대 신발 (0) | 2025.02.14 |
유럽식 반달모양 돌칼 (0) | 2025.02.12 |
금알갱이 촘촘히 박은 투탕카멘 칼 손잡이 (0) | 2025.02.12 |
물고기 새가 노니는 이집트 벽화 (0) | 202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