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신동훈 선생께서 가축의 이동과 관련해 몇 번 남태평양 제도를 기반으로 성립된 저 라피파 문화를 여러 번 논급했으므로 저 위키피디아 영문항목 전문을 번역해 소개한다. 자동번역에 상당히 기댔다. 도판은 다른 데서 찾아 대량으로 보강했다.
라피타 문화Lapita culture는 신석기 시대 오스트로네시아인Austronesian people과 그들의 독특한 물질 문화를 지칭하는 말로,
저 문화를 이룩한 사람들은 기원전 1600년에서 기원전 500년 무렵 해상 이동을 통해 멜라네시아Melanesia 섬에 정착했다.
라피타족Lapita people은 필리핀 북부에서 직접 유래했거나, 마리아나 제도를 거쳐 유래했거나, 또는 둘 다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치상문이 새겨진 토기dentate-stamped pottery에 새겨진 독특한 기하학적 무늬로 유명하며, 이는 루손 섬 북부의 나그사바란Nagsabaran 유적에서 발굴된 토기와 매우 유사하다.
라피타족은 파푸아인들과 다양한 방식으로 혼인했으며 폴리네시아, 미크로네시아 동부, 멜라네시아 섬에 거주하는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의 직계 조상이다.
"라피타(Lapita)"라는 말은 1952년 뉴칼레도니아New Caledonia에서 진행된 발굴 작업 중 고고학자들이 현지 하베케어Haveke language인 "구멍을 파다" 또는 "파는 곳"을 의미하는 자페타아xapeta'a라는 단어를 잘못 듣고 붙인 이름이다.
라피타 고고학 문화 Lapita archaeological culture는 뉴칼레도니아 주요 섬인 그랑드 테르(Grande Terre)의 푸에 반도Foué peninsula에서 처음 발견된 유형 유적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발굴은 1952년 미국 고고학자 에드워드 W. 기포드(Edward W. Gifford)와 리처드 셔틀러 주니어(Richard Shutler Jr.)가 '유적 13'에서 수행했다.
정착지와 토기 파편은 나중에 기원전 800년으로 추정되었으며 태평양 섬 초기 인구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 이후로 200곳 이상 라피타 유적이 발견되었으며, 그 범위는 멜라네시아 해안 및 섬 지역에서 피지와 통가까지 4,000km가 넘는 지역에 걸쳐 있으며, 현재까지 가장 동쪽 경계는 사모아에 있다.
라피타라는 용어는 현재 해양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조상의 기원과 특징에 대한 이론들을 총칭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이러한 조상 공동체와 관련된 발굴, 특히 도기에서 발견되는 물질 문화를 지칭하기도 한다.
'고전' 라피타 도기 'Classic' Lapita pottery는 기원전 1,600년에서 1,200년 사이 비스마르크 군도Bismarck Archipelago에서 제작되었다.
기원전 1,200년 이후의 라피타 디자인과 기법을 보여주는 유물이 솔로몬 제도Solomon Islands, 바누아투Vanuatu, 그리고 뉴칼레도니아에서 발견되었다. 기원전 1,000년경의 라피타 도기 양식은 피지와 서부 폴리네시아에서 발견되었다.
서부 폴리네시아에서 라피타 도기는 장식성이 떨어지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단순해졌다.
사모아에서는 약 2,800년 전부터, 통가에서는 약 2,000년 전부터 생산이 완전히 중단된 것으로 보인다.
라피타의 영향을 암시하는 섬세한 장식 디자인을 지닌 도기는 당시 구할 수 있는 재료에 따라 다양한 재료로 제작되었으며, 장인들은 사용 가능한 도구에 따라 다양한 기법을 사용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도기는 저온 소성 토기low-fired earthenware로 구성되었으며, 조개껍질이나 모래로 담금질하고 톱니 모양의("치아dentate") 도장 toothed stamp으로 장식했다.
이러한 장식은 나무껍질 천bark cloth("타파tapa")이나 매트mats와 같이 내구성이 약한 재료나 문신에서 도자기로 옮겨졌거나, 도기에서 해당 재료로 옮겨졌을 것이라는 이론이 제기되었다.
라피타 레퍼토리의 다른 중요한 부분은 다음과 같다.
비커beakers, 냄비, 그릇을 포함한 장식이 없는("평범한 도기plain-ware") 도기; 조개 유물; 갈은 돌로 만든 자귀ground-stone adzes; 흑요석obsidian, 처트chert 또는 기타 구할 수 있는 암석으로 만든 편평석 도구flaked-stone tools.
라피타족은 돼지, 개, 닭을 키웠다.
원예Horticulture는 뿌리채소root crops와 나무 작물tree crops을 기반으로 했으며 특히 토란taro, 얌yam, 코코넛, 바나나, 그리고 다양한 빵나무 열매breadfruit를 주로 재배했다.
이러한 식량은 어업과 연체동물 채집으로 보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장거리 교역이 이루어졌으며 흑요석, 자귀adzes, 자귀 원석adze source-rock, 조개껍데기 등이 거래되었다.
매장 관습
2003년 바누아투Vanuatu 에파테 섬 Efate Island 테우마Teouma 고고학 발굴 현장에서 매장 항아리burial jars와 총 36구 유골을 포함한 무덤 25기로 이뤄진 대규모 묘지가 발견되었다.
모든 유골에는 머리가 없었다.
시신이 처음 매장된 후 어느 시점에 두개골이 제거되고 원뿔 조개껍데기로 만든 고리가 끼워졌으며, 머리는 다시 매장되었다.
한 무덤에는 가슴에 세 개 두개골이 올려진 노인 유골이 있었다.
또 다른 무덤에는 항아리 안에 새 네 마리가 들여다보는 모습이 새겨진 항아리가 있었다.
조개껍데기 탄소 연대 측정 결과, 이 묘지는 기원전 1000년 경에 사용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2002년, 피지 모투리키Moturiki 에서 완전한 인간 유골이 발견되었다.
나중에 마나(Mana)라고 명명된 이 유골은 기원전 800년 또는 그 이전에 살았던 라피타(Lapita)족 여성 유골이었다.
그녀는 지표면으로부터 1.5미터 이상 깊이 묻혀 있었고, 모래와 미사 퇴적층이 그대로 남아 있었으며, 그 안에서 라피타족 토기가 발견되었다.
그녀의 목 아래에는 큰 조개껍데기가, 무릎 사이에는 또 다른 조개껍데기가 놓여 있었고, 무덤 안에는 더 작은 조개껍데기가 더 많이 있었다.
정착지
오세아니아 외딴 지역 섬에 있는 라피타 문화 마을은 내륙보다는 해변이나 작은 연안 섬에 위치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위치는 뉴기니와 같은 내륙 지역에 이미 다른 민족이 정착했기 때문에 선택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또는 라피타족에게는 면역 체계가 없었을 말라리아를 옮기는 모기가 서식하는 지역을 피하기 위해 선택되었을 수도 있다.
그들의 집 중 일부는 넓은 석호 위 죽마stilts 위에 지어졌다.
그러나 뉴브리튼New Britain에는 흑요석 근원 근처에 위치한 내륙 정착지가 있었다.
그리고 군도 동쪽 끝 섬에서는 모든 정착지가 해변이 아닌 내륙, 때로는 상당히 내륙 깊숙한 곳에 위치했다.
라피타 유적은 무사이Mussay에서 사모아까지 매우 넓은 지역을 아우른다.
라피타 도기는 근해 오세아니아뿐만 아니라 원양 오세아니아에서도 발견되었으며, 서쪽으로는 비스마르크 군도, 동쪽으로는 사모아, 남쪽으로는 뉴칼레도니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사모아 물리파누아Mulifanua 마을 유적에서 라피타 문화 영향을 강력하게 시사하는 두 개 자귀가 발견되었다.
자귀와 함께 발견된 유물에 대한 탄소 연대 측정 결과, 기원전 약 1000년경 이곳에 라피타 정착지가 있었음이 시사된다.
뉴칼레도니아 유적의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 기원전 1,110년 전부터 라피타 정착지가 있었음이 시사된다.
라피타 문화의 영향을 받은 북쪽 지역의 정착지 연대와 위치는 여전히 많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라피타 단지는 극서부 라피타 Far Western Lapita, 서부 라피타 Western Lapita, 동부 라피타Eastern Lapita의 세 개 지리적 하위 지역 또는 지방으로 나뉜다.
극서부 라피타에는 1909년 오토 마이어Otto Meyer가 발견한 지역을 포함하여 뉴브리튼 또는 비스마르크 군도가 있다.
서부 라피타에는 솔로몬 제도에서 뉴칼레도니아까지 발견된 유적이 포함된다.
동부 라피타는 피지, 통가, 사모아 지역에 기인한다.
동부 라피타 지역에서 고유한 패턴이 발견되어 초기 및 후기 동부 라피타 변이가 세분화했음을 시사한다.
언어학자들을 비롯한 연구자들은 라피타 문화 복합체 사람들이 오늘날 동남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한 갈래인 원시 오세아니아어를 사용했을 것이라는 이론을 제시한다.
그러나 라피타족이 사용한 특정 언어는 알려져 있지 않다.
오늘날 이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여러 고대 언어에서 유래했으며, 고고학을 통해 발견된 유물 문화는 일반적으로 유물 제작자들이 사용했던 언어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지 않는다.
더욱이, 특정 라피타족 집단은 다른 군도나 섬에 사는 친척들과 언어와 외모가 다를 가능성이 높다.
매튜 스프릭스Matthew Spriggs는 라피타족을 오세아니아어족 언어와 태평양 대부분 지역의 문화적, 종교적 개념의 근원으로 본다.
라피타 문화권은 약 5,000년에서 6,000년 전 사이 타이완에서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 확장의 동쪽 이동 지류의 일부다.
이주민 중 일부는 멜라네시아에 도착했으며, 훨씬 더 일찍 초대륙 사훌super-continent of Sahul로 이동한 이들의 먼 후손이었다.
그들이 그곳에 도달하기 위해 택한 경로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이론이 있다.
마리아나 제도를 통과했을 수도 있고, 필리핀을 통과했을 수도 있으며, 둘 다였을 수도 있다.
라피타 문화 원주민이 오스트로네시아인이었다는 이론을 가장 강력하게 뒷받침하는 것은 원시 말레이폴리네시아어(아마도 필리핀에서 사용되었을 것임)와 원시 오세아니아어(아마도 라피타족이 사용했을 것임) 사이에 매우 상당한 어휘적 연속성을 보여주는 언어적 증거다.
또한, 언어적 연속성 패턴은 물질 문화의 유사성 패턴과 일치한다.
2011년 피터 벨우드Peter Bellwood는 말레이폴리네시아어 화자들Malayo-Polynesian speakers이 오세아니아로 처음 이동한 것은 북부 필리핀에서 동쪽으로 마리아나 제도로, 그 후 남쪽으로 비스마르크 제도로 이동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더 오래된 주장은 라피타 정착민들이 먼저 인도네시아 동부를 거쳐 멜라네시아에 도착했다는 것이었다.
벨우드의 주장에는 두 가지 이동 패턴이 모두 발생했으며, 각기 다른 이주민들이 각기 다른 경로를 택했을 가능성이 포함되었다.
벨우드의 주장은 도기 증거에 의해 뒷받침된다. 라피타 도기는 다른 곳에서 발견된 도자기보다 필리핀(루손 섬의 나그사바란 고고학 유적)에서 발견된 도자기와 더 유사하다.
다른 증거들은 루손 지역이 라피타 문화에서 계승되는 각인 도기 전통의 원래 발상지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고고학적 증거는 라피타 문화권 사람들이 오스트로네시아계 출신이라는 이론을 광범위하게 뒷받침한다.
약 3,500년 전 비스마르크 군도에서 라피타 문화권은 완전히 발달된 고고학적 지평과 고도로 발달된 기술 집합체로 갑자기 나타났다.
이 군도에서는 초기 발달 단계의 정착지에 대한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라피타 문화가 이주 인구에 의해 유입되었으며,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짐 앨런과 J. 피터 화이트Jim Allen and J. Peter White 같은 학자들이 주장한 것처럼 지역적으로 진화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3만 년에서 4만 년 전부터 서부 멜라네시아가 토착 파푸아인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거주되었다는 증거가 있다.
이 증거에는 회수된 유물도 포함된다.
그러나 이러한 오래된 물질 문화 잔재는 라피타 지평 이후에 발견된 유물보다 훨씬 덜 다양하다.
더 오래된 물질 문화는 후기 라피타 물질 문화에 몇 가지 요소, 즉 일부 작물과 일부 도구만을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라피타 유물 문화 요소 대부분은 동남아시아에서 유래한 것이 분명하다.
여기에는 도기, 농작물, 논농사paddy field agriculture, 가축(닭, 개, 돼지), 직사각형 죽마집rectangular stilt houses, 문신 끌attoo chisels, 사각 자귀quadrangular adzes, 윤이 나는 돌 끌 polished stone chisels, 아웃리거 보트 기술outrigger boat technology, 트롤링 훅 trolling hooks, 그리고 다양한 기타 석기 유물이 포함된다.
라피타 도기는 오스트로네시아 기원Austronesian origin에 대한 가장 강력한 증거를 제공한다.
붉은색 슬립red slips, 작은 펀치 자국tiny punch marks, 치상 도장dentate stamps, 원형 도장, 그리고 원 안에 십자가가 있는 모티프cross-in-circle motif와 같은 매우 독특한 요소들을 지닌다.
유사한 도기가 대만, 필리핀 바타네스Batanes 섬과 루손Luzon 섬, 그리고 마리아나 제도에서도 발견되었다.
로저 그린Roger Green과 피터 벨우드Peter Bellwood가 주창하고 오늘날 대부분의 전문가가 받아들이는 정통적인 견해는 소위 "트리플-I 모델 Triple-I model"("침입, 혁신, 통합 intrusion, innovation, and integration"의 줄임말)이다.
이 모델은 초기 라피타 문화가 세 단계 과정의 결과로 발생했다고 가정한다.
첫째, 동남아시아 섬나라의 오스트로네시아계 민족(그리고 그들의 언어, 재료, 사상)이 근오세아니아로 "침입"한 것, 둘째, 라피타족이 멜라네시아에 도달한 후 새로운 기술의 형태로 "혁신"한 것, 셋째, 라피타족이 기존 (비오스트로네시아계) 인구 집단에 "통합"한 것이다.
기원전 800년경 피지에 살았던 라피타족 여성의 완전한 골격인 마나 유골Mana skeleton은 컴퓨터 모델링을 통해 얼굴을 복원했다.
그녀의 얼굴 생김새는 일반적으로 폴리네시아, 피지, 아시아계 조상과 관련된 특징과 유사하지만, 이러한 집단 중 어느 하나와도 명확하게 일치하지는 않는다.
고고유전학Archaeogenetics
2016년, 바누아투와 통가 Vanuatu and Tonga 섬 고대 묘지에서 발견된 라피타족 유골 4구의 DNA 분석 결과, 라피타족은 대만과 필리핀 북부 거주민 후손임이 밝혀졌다.
라피타족의 이동 경로에 대한 이러한 증거는 2020년 마리아나 제도 초기 정착민의 유해와 바누아투와 통가 초기 라피타족의 유해를 mtDNA 및 유전체 전체 SNP(단일 염기 다형성) 비교를 통해 뒷받침되었다.
이 결과는 두 집단 모두 필리핀의 동일한 고대 오스트로네시아계 인구 집단의 후손임을 시사한다.
이 유해에서 "파푸아" 계통 혼혈이 전혀 발견되지 않은 것은 이주민들이 인도네시아 동부와 뉴기니 나머지 지역을 우회하여 이동했음을 시사한다.
연구 저자들은 그들의 결과가 또한 초기 라피타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마리아나 제도의 초기 식민지 주민들(그들보다 약 150년 앞선 사람들)의 직계 후손이었을 가능성을 뒷받침한다고 언급했다. 이 아이디어는 또한 토기 증거와 일치한다.
최근 DNA 연구에 따르면 라피타족과 현대 폴리네시아인은 대만의 아타얄족Atayal 및 필리핀 북부의 칸카나이 Kankanaey 족과 공통 조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연구에 따르면 라피타족은 대만에 처음 정착한 고대 집단(~0~8%)에 비해 동북아시아계 조상(~21~29%)이 더 많다고 한다.
라피타(Lapita) 재료를 최초로 기록에 남긴 사람은 1909년 와톰 섬(Watom Island)에서 활동하던 성심(Sacred Heart) 선교사 오토 마이어(Otto Meyer)였다.
마이어는 열대성 폭풍이 섬을 강타하고 유물이 드러난 후 토기 조각을 발견했다.
장식된 토기 조각은 마이어에 의해 파리의 Musée de l'Homme으로 보내졌다.
1920년 인류학자 윌리엄 C. 맥컨(William C. McKern)은 대규모 탐험 일환으로 통가타푸Tongatapu 섬에서 1,500개가 넘는 토기 조각을 발굴했는데, 대부분에 각인된 모티프가 있었다.
맥컨은 마이어의 발견 사실을 알지 못했고 이 조각들이 선사 시대 피지 도기라고 생각했다.
마이어의 조각과 맥컨이 발굴한 조각 사이의 연관성은 1940년 일데팽(Ile des Pins)에서 도기가 발견되면서 밝혀졌다.
1950년대에는 1920년 맥컨을 도운 에드워드 윈슬로 기퍼드Edward Winslow Gifford가 라피타라는 용어가 유래된 코네 반도Koné Peninsula 해변을 중심으로 탐사를 이끌었다.
기퍼드는 발굴된 목탄에 최근 개발된 탄소 연대 측정법을 적용하여 유물의 연대를 2,800년에서 2,450년 전으로 추정했다.
기퍼드는 이후 마이어의 와톰 섬 파편Watom islands sherds과 맥컨의 베이어드 도미닉 탐사대Bayard Dominick expedition를 포함한 이전 발견의 증거 사이의 연관성을 입증했다.
Gifford는 또한 그의 Lapita 유물과 Pieter Vincent van Stein Callenfels가 술라웨시의 Karama 강을 따라 발견한 유물 사이의 관계를 입증했다.
이러한 발견과 추가 발굴 사이의 Lapita 모델의 시간 척도는 멜라네시아 문화와 기타 서부 폴리네시아 문화보다 앞선 1960년대에 Jack Golson에 의해 입증되었다.
주목할 만한 고고학적 위치에는 Niuatoputapu의 Lolokoka 유적과 동부 Lapita 내부, 솔로몬 제도로의 확장을 포함하는 Reef Islands의 Nenumbo 유적, Bismarck 군도 내에서 가장 초기의 Lapita 그룹을 보여주는 Massau의 Talepakemalai가 있다.
폴리네시아의 라피타족
1980년대와 1990년대에 고고학 기록이 개선됨에 따라 라피타족이 멜라네시아와 서부 폴리네시아 일부 지역의 최초 정착민으로 밝혀졌다.
많은 과학자들은 멜라네시아의 라피타 도기가 폴리네시아 조상들이 중부 태평양으로 이동하면서 이 지역을 통과했음을 증명한다고 생각한다.
폴리네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고고학 유적은 통가에 있다.
기원전 9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다른 초기 라피타 유적도 통가에서 발견되었으며, 피지와 동부 멜라네시아의 라피타 유적에서 발견된 당시와 그 직전의 전형적인 도기 및 기타 고고학적 "키트"가 포함되어 있다.
아니타 스미스Anita Smith는 폴리네시아 라피타 시대Polynesian Lapita period를 후기 폴리네시아 플레인웨어 시대later Polynesian Plainware ceramic period in Polynesia와 비교한다.
"민도기Plainware pottery(및 라피타)와 관련된 새롭거나 다른 종류의 증거는 없는 것으로 보이며, 물질 문화와 동물상 조합의 일부 요소가 사라진 것이 분명할 뿐이다.
고고학 기록의 대부분 측면에서는 라피타 이후 피지와 멜라네시아 섬(망가아시와 나비티 도기)의 연대를 모방하는 것으로 보이는 연속성이 있다."
민도기는 서부 폴리네시아의 여러 섬에서 발견되며, 라피타 도기만 발견되었던 시기와 동부 폴리네시아 정착 이전, 당시 서부 폴리네시아인들이 도기 생산을 완전히 중단한 시기 사이의 과도기를 나타낸다.
고고학적 증거는 사모아에서 서기 1년경에 평도기 생산이 갑자기 중단되었음을 시사한다.
스미스에 따르면, "동폴리네시아 선사 시대 어느 시기에도 폴리네시아 사회에서 도기가 제작되지 않았다."
매튜 스프릭스Matthew Spriggs는 "라피타 도공과 멜라네시아인 사이의 문화적 연속성 가능성은 마땅히 고려되지 않았다. 대부분의 유적에서 지층학적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채 양식이 겹치는 부분이 있었다. 도기의 질, 흑요석의 수입, 그리고 비도기 유물에서 연속성이 발견된다."
***
저 라피타 문화 특유하는 거치문, 이빨 문양을 근거로 또 장난 치는 사람 나올라. 뭐 이미 있는 징조도 없지는 않다만.
'문화유산현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혹소 제부를 형상화한 인더스문명 도기 (0) | 2025.05.05 |
---|---|
죽기 전에 봐야 할 노르웨이 바이킹 박물관 (0) | 2025.05.04 |
벨로드롬 흔적만 남은 로마 나보나 광장 (0) | 2025.05.03 |
안트라키아anthrakia, 고대 그리스 요리 난방 화로 (0) | 2025.05.01 |
사티로스, 부어라 마셔라 세워라! (0) | 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