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물톱아보기

이슈타르 여신은 루비 눈?

gogoworld 2024. 12. 5. 19:01
반응형



기원전 3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이 알라바스터alabaster 조각상은

이라크 바빌론 근처 힐라Hillah 네크로폴리스에서 회수된 것으로

이난나Inanna로도 알려진 이슈타르Ishtar[이시타르] 여신을 묘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초승달 머리 장식, 금 장신구, 루비 상감 눈 등이 특징이며, 이는 모두 고대 메소포타미아 미술 특징이라 꼽을 만하다.

귀한 재료를 많이 썼으니 그만큼 귀히 여긴 존재였으리라.

이난나는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전쟁, 사랑, 다산의 여신이다. 또한 정치 권력, 신의 법칙, 관능, 그리고 출산과 연관되어 있다.

원래 수메르Sumer에서 숭배되다가 아카드인, 바빌로니아인, 그리고 아시리아인들에게는 이슈타르Ishtar로 알려졌다. 그녀한테 주어지는 가장 주된 칭호는 "천상의 여왕the Queen of Heaven"이다.

그녀는 초기 주요 종교 중심지였던 우루크Uruk에 있는 에안나 사원Eanna temple의 수호여신이었다. 고대 우루크에서 그녀는 세 가지 형태로 숭배되었다.

아침 이난나(Inana-UD/hud), 저녁 이난나(Inanna sig), 그리고 왕가의 이난나(Inanna NUN)였는데, 전자와 후자는 그녀와 연관된 행성 금성Venus의 위상을 반영한다.

가장 두드러진 상징으로는 사자와 팔각별eight-pointed star이 있다. 그녀의 남편은 신 두무지드Dumuzid(나중에 탐무즈Tammuz로 알려짐)이고, 그녀의 수칼sukkal(시종)은 여신 닌슈부르로Ninshubur인데 이 시종 여신은 나중에는 남성 신들인 일라브라트Ilabrat, 그리고 파프수칼Papsukkal과 병합되었다.

이난나는 우루크 시대(기원전 4000년경~3100년) 초부터 수메르에서 숭배되었으며, 아카드의 사르곤Sargon  정복 이전에는 비교적 지역화한 숭배 양상을 보였다.

사르곤 이후 시대에 그녀는 수메르 판테온Sumerian pantheon에서 가장 널리 숭배되는 신들 중 하나가 되었고 메소포타미아 전역에 사원이 세워졌다.

이난나/이슈타르 숭배는 수메르인들을 계승하여 흡수한 동셈어족East Semitic-speaking peoples(아카드인, 아시리아인, 바빌로니아인)에 계승되었다.

이난나/이슈타르는 특히 아시리아인들에게 사랑받았는데, 아시리아인들은 그녀를 판테온에서 가장 높은 신으로 추대하여 자신들의 국가신 아슈르Ashur보다 높은 지위에 올려놓았다.

이난나/이슈타르는 히브리 성서에도 언급되며, 우가리트의 여신 아스타르테Ashtart와 이후 페니키아의 여신 아스타르테Astarte에게 큰 영향을 미쳤고, 아스타르테는 그리스 여신 아프로디테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그녀에 대한 숭배는 기독교가 들어온 서기 1세기에서 6세기 사이에 점차 쇠퇴하기 전까지 계속 번성했다.

이난나는 다른 어떤 수메르 신보다 더 많은 신화에 등장한다. 또한 그녀는 네르갈Nergal에 버금가는, 유례없이 많은 수의 별명과 다른 이름을 지닌다.

이난나 신화 중 다수는 그녀가 다른 신들의 영역을 차지한 것과 관련이 있다.

지혜의 신 엔키Enki로부터 문명의 모든 긍정적, 부정적 측면을 상징하는 메mes를 받았다고 여겨진다.

또한 하늘의 신 안An에게서 에안나 사원을 빼앗았다고도 전해진다.

쌍둥이 오빠 우투Utu(후에 샤마쉬Shamash로 알려짐)와 함께 이난나는 신의 정의를 집행한다.

그녀는 자신의 권위에 도전한 에비흐 산Mount Ebih을 파괴하고, 잠자는 동안 자신을 강간한 정원사 슈칼레투다Shukaletuda에게 분노를 터뜨리며, 두무지드를 살해한 여자 산적 빌룰루Bilulu를 추적하여 신의 보복으로 그녀를 죽였다. 

길가메시 서사시Epic of Gilgamesh의 표준 아카드어 버전에서 이슈타르는 길가메시에게 자신의 배우자가 되어 달라고 청한다.

그가 경멸스럽게 거부하자, 그녀는 천국의 황소Bull of Heaven를 풀어주었고, 그 결과 엔키두Enkidu가 죽고 길가메시는 자신의 죽음에 대해 고심하게 된다.

이난나의 가장 유명한 신화는 언니 에레슈키갈Ereshkigal이 다스리던 고대 메소포타미아 지하 세계로 내려갔다가 돌아오는 이야기다.

그녀가 에레슈키갈의 왕좌에 도착하자, 지하 세계 일곱 재판관은 그녀에게 유죄 판결을 내리고 그녀를 죽인다.

3일 후, 닌슈부르Ninshubur는 모든 신들에게 이난나를 데려오라고 간청한다.

하지만 엔키를 제외한 모든 신들은 그녀를 거부하고, 엔키는 무성無性의 존재sexless beings 두 명을 보내 이난나를 구출한다.

그들은 이난나를 지하 세계에서 데려왔지만, 지하 세계의 수호자들인 갈라galla는 그녀의 남편 두무지드Dumuzid를 지하 세계로 끌고 내려와 그녀의 후계자로 삼는다.

두무지드는 결국 1년의 절반은 천국으로 돌아가고, 나머지 절반은 여동생 게슈티난나Geshtinanna가 지하 세계에 머물게 되면서 계절이 순환한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 저 상 전체 모습은 아래와 같은데 생각보다는 오통통한 모습으로 표현했다.

재료가 모자라서 그랬을까? 아니면 이 여신을 그렇게 저들은 상상해서일까? 

지금 모습은 각종 티가 섞여서 그렇지 저걸 처음에 만들어냈을 때는 저렇지 않았을 것이다. 

 

반응형